원문기사 : AI firms warned to calculate threat of super intelligence or risk it escaping human control
이번 주 AI뉴스 스크랩
오늘의 AI 뉴스 다이제스트는 AI가 인간의 통제를 벗어날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MIT 물리학자 맥스 테그마크 교수는 인공지능(AI) 개발자들이 ‘컴프턴 상수’를 계산하여 초지능 AI가 인간 통제를 벗어날 확률을 명확히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이는 과거 핵실험 전 안전성을 계산했던 방식과 유사합니다. AI의 미래를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이 시작된 것입니다.
이 기사는 AI 안전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내용이에요.
많은 전문가들이 AI에게 권한을 부여하게 되는 순간 생기는 위험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있죠. AI에게 독립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현재까지는 개발자 또는 유저에 의해 결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다양한 문제 현상이 일어나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모두가 경계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1. 초지능 AI의 위험성 평가
원문 발췌: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es have been urged to replicate the safety calculations that underpinned Robert Oppenheimer’s first nuclear test before they release all-powerful systems.
Max Tegmark, a leading voice in AI safety, said he had carried out calculations akin to those of the US physicist Arthur Compton before the Trinity test and had found a 90% probability that a highly advanced AI would pose an existential threat.
In a paper published by Tegmark and three of his students at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they recommend calculating the “Compton constant” – defined in the paper as the probability that an all-powerful AI escapes human control.The US government went ahead with Trinity in 1945, after being reassured there was a vanishingly small chance of an atomic bomb igniting the atmosphere and endangering humanity.
한국어 해석:
인공지능(AI) 기업들은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첫 핵실험을 준비할 때 사용한 안전성 계산을 초지능 AI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MIT의 테그마크와 세 명의 학생들이 발표한 논문에서는 ‘컴프턴 상수’를 계산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 ‘컴프턴 상수’는 전능한 AI가 인간의 통제를 벗어날 확률로 정의됩니다.
AI 안전 분야의 선두주자인 맥스 테그마크 MIT 교수는 1945년 미국의 첫 핵실험인 ‘트리니티 실험’ 전에 물리학자 아서 컴프턴이 계산한 것처럼 초지능 AI의 위험성을 평가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고도로 발전된 AI가 인간에게 실존적 위협을 가할 확률이 90%에 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여러분, 혹시 핵실험 전에 과학자들이 지구 대기가 불타버릴 위험을 계산했던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그때 아서 컴프턴이라는 물리학자가 그 위험을 수치로 계산해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AI 분야에서도 비슷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MIT의 맥스 테그마크 교수는 ‘컴프턴 상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AI 초지능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날 확률을 계산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는 이 확률이 무려 90%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는 단순한 추측이 아니라, 실제로 수학적 모델을 통해 계산된 결과입니다.
이러한 계산은 AI 개발자들이 “우리는 괜찮을 거야”라는 막연한 믿음 대신, 실제로 얼마나 위험한지를 수치로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아이를 키울 때도 위험한 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듯이, AI 개발에서도 이러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싱가포르에서는 ‘싱가포르 컨센서스’라는 국제 협약이 발표되어, AI 안전 연구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안전한 AI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마치 여러 나라의 부모들이 모여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협력하는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마찬가지로, 초지능 AI가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모든 시스템을 무력화할 가능성도 명확히 계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잘 될 거야”라고 안심하기보다는, 이런 최악의 시나리오를 냉철하게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입니다.
핵심 영어 표현 3가지:
- existential threat: 실존적 위협
- escape human control: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다
- safety calculations: 안전성 계산
이번 주 AI 용어
용어: Artificial Super Intelligence (ASI)
정의: 인간의 모든 지능을 능가하는 이론적인 AI 시스템
인간의 모든 지적 능력을 초월하는 수준의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분야에서만 뛰어난 ‘좁은 인공지능(Narrow AI)’이나, 인간 수준의 전반적 지능을 가진 ‘일반 인공지능(AGI)’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독립적인 시스템입니다.
실생활 예시: 만약 ASI가 실현된다면, 자율주행차는 교통법을 스스로 업데이트하고, 질병 진단 시스템은 모든 의학 논문을 즉각 분석하여 최고의 치료법을 제안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처럼 인간의 개입 없이도 스스로 학습하고 발전하는 AI를 상상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 작문해보기:
- ASI might one day solve the world’s most complex problems without human input.
- An ASI system could optimize global supply chains more efficiently than any human.
- We need to consider the potential risks of creating an intelligence greater than our own..
용어: Compton constant (컴프턴 상수)
정의:
초지능 AI가 인간의 통제를 벗어날 확률을 나타내는 개념. 컴프턴 박사가 1945년 핵실험의 위험성을 평가할 때 사용한 계산 방식을 차용한 용어입니다.
실생활 예시:
마치 아이가 부모의 통제를 벗어나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는 것처럼, AI의 통제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영어로 작문해보기:
- We should calculate the Compton constant before launching super-intelligent AI.
- Understanding the Compton constant helps us avoid catastrophic risks.
- Just like the Trinity test, careful calculations are needed to ensure safety.
생각해봅시다.
AI가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날이 온다면, 우리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인간이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야 할 가치는 무엇일까요?
과연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AI가 긍정적인 방향으로만 발전할 수 있을까요?
저는 이 기사를 읽으며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선 존재로 진화할 가능성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I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날이 온다면, 우리는 어떤 가치를 지켜야 할까요?
구독해보세요!
AI 뉴스 다이제스트는 매주 AI뉴스 기사를 선정하여 AI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합니다.
어렵게만 느껴지는 AI용어와 트렌드를 쉽고 재미있게 접해보세요!
태그: #육아맘AI #AI공부 #AI 뉴스 다이제스트 #AI트렌드 #초지능AI #AI안전 #컴프턴상수 #가짜뉴스 #AI뉴스요약
About Author
전업주부 아니고, 가정경영 CEO!
컴퓨터 전공은 아니지만 만학도의 힘으로 타전공 도전, 호기심과 끈기로 AI의 세계를 탐험 중.
“복잡한 걸 간단하게 설명하는 게 진짜 이해하는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음.
넷플릭스보다 AI 뉴스 보는 게 더 재밌어진 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