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기사 : ‘With AI slop distorting our reality, the world is sleepwalking into disaster’ – The Guardian
이번 주 AI뉴스 스크랩
요즘 온라인 상에서 일명 ‘가짜뉴스’ 로 인한 혼란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처럼 저품질 AI 콘텐츠가 우리의 현실을 왜곡하고 혼란을 가중 시키는 문제에 대한 경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현실을 반영하는 실제 사진과 영상뿐 아니라, AI가 생성한 ‘AI 슬롭’이라 불리는 저품질 콘텐츠도 함께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콘텐츠는 단순한 재미를 넘어 정치적 선전이나 편향된 세계관을 강화하는 도구로도 활용되며, 점점 더 우리의 현실 감각을 왜곡시키고 있습니다. 이렇게 왜곡된 정보로 인해 피해를 보는 사례가 등장하기 시작하는데요. 이번 주 뉴스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며, 우리가 어떤 디지털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합니다.

1. AI 슬롭, 가상의 세상을 구축하다
원문 발췌:
“A new genre of AI slop is rightwing political fantasy. There are entire YouTube videos of made-up scenarios in which Trump officials prevail against liberal forces.”
“There are two parallel image channels that dominate our daily visual consumption. In one, there are real pictures and footage of the world as it is… In the other is AI slop, low-quality content with minimal human input.” – Nesrine Malik, The Guardian“Generative AI is trained on pre-existing data, which research has shown is inherently biased against ethnic diversity, progressive gender roles and sexual orientations”
“The outcome is an internet of robots, tickling human users into whatever feelings and passions keep them engaged.”“What is emerging, amid all the landfill of giant balls of cats, is the use of AI to create, idealise and sanitise political scenarios by rendering them in triumphant or nostalgic visual language.”
영어 뉴스 해석:
AI로 생성된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는 우익 정치 판타지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진보 세력을 이기는 가상의 시나리오가 유튜브에 가득합니다.
우리는 매일 현실을 반영한 사진과 영상뿐 아니라, AI가 생성한 저품질 콘텐츠도 함께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 ‘AI 슬롭’은 최소한의 인간 개입으로 만들어진 저품질 콘텐츠로, 단순한 재미를 위한 것이거나 때로는 왜곡된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가상의 정치적 승리를 그린 영상이나, 특정 문화적 아이콘을 미화한 이미지들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생성형 AI는 기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보수적이고 향수를 자극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이러한 콘텐츠는 종종 백인 가족의 이상적인 미래를 그리거나 전통적인 성 역할을 미화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편향된 세계관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AI 슬롭은 단순한 재미를 넘어서, 우리의 현실 감각을 왜곡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만화 같은 연예인 이미지, 환상적인 풍경, 인간처럼 행동하는 동물들의 이미지는 대부분 이러한 AI 슬롭에 해당합니다. 이는 단순히 인터넷의 밈(meme) 문화를 넘어서 정치적, 문화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콘텐츠는 단순히 재미를 넘어서 특정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일부 극우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백인 가족을 이상화한 이미지나 전통적인 성 역할을 강조하는 콘텐츠가 퍼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사회적 편견을 강화하고 새로운 형태의 정치적 선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요즘 SNS나 메신저에서 AI로 만들어진 이미지를 자주 보셨을 거예요. 처음엔 귀엽거나 재미있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러한 이미지들이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고 있어요. 특히 정치적인 내용이 담긴 AI 이미지는 사실이 아닌데도 진짜처럼 보이게 만들어져, 사람들의 생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하는 가상의 장면을 담은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오기도 했어요. 이러한 콘텐츠는 현실을 왜곡하고,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AI는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편향된 시각을 그대로 반영할 위험도 있습니다. 이처럼 AI 이미지가 우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핵심 영어 표현 3가지:
- AI slop: 저품질 AI 콘텐츠
- Visual consumption: 시각적 소비
- Generative AI: 생성형 AI
이번 주 AI 용어
용어: AI slop (AI 슬롭)
정의: 최소한의 인간 개입으로 생성된 저품질 AI 콘텐츠
실생활 예시: 소셜 미디어에서 볼 수 있는 과장된 정치적 이미지, 비현실적인 인물 사진, 혹은 과도하게 미화된 가상의 세계
영어로 작문해보기:
- AI slop can distort our perception of reality.
- It’s hard to distinguish real photos from AI slop these days.
- Some people use AI slop for political propaganda.
생각해봅시다.
AI로 생성된 이미지들이 현실을 왜곡하고, 우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 속에서 우리는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요? AI가 만들어낸 콘텐츠를 무조건 믿기보다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AI 기술이 우리의 일상에 얼마나 깊숙이 들어와 있는지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편리함도 있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위험성도 함께 인식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구독해보세요!
AI 뉴스 다이제스트는 매주 AI뉴스 기사를 선정하여 AI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합니다. 어렵게만 느껴지는 AI용어와 트렌드를 쉽고 재미있게 접해보세요!
태그: #AI슬롭 #시각적소비 #AI트렌드 #생성형AI #AI뉴스다이제스트 #현실왜곡 #디지털미디어
About Author
전업주부 아니고, 가정경영 CEO!
컴퓨터 전공은 아니지만 만학도의 힘으로 타전공 도전, 호기심과 끈기로 AI의 세계를 탐험 중.
“복잡한 걸 간단하게 설명하는 게 진짜 이해하는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음.
넷플릭스보다 AI뉴스 보는 게 더 재밌어진 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