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기사 : Most AI chatbots easily tricked into giving dangerous responses, study finds
이번 주 AI 뉴스 다이제스트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AI 챗봇이 간단한 방법으로 위험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속일 수 있다고 합니다. 우려했던 상황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네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민감도가 어느때 보다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AI가 우리의 일상에 점점 더 깊이 들어오게 될 수록, 그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함께 커지기 마련이죠.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이나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이러한 정보가 더욱 중요하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이번 기사를 통해 AI의 잠재적인 위험성과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을 함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1. AI 챗봇, 위험한 정보 쉽게 노출
AI 뉴스 원문:
Hacked AI-powered chatbots threaten to make dangerous knowledge readily available by churning out illicit information the programs absorb during training, researchers say.
The warning comes amid a disturbing trend for chatbots that have been “jailbroken” to circumvent their built-in safety controls. The restrictions are supposed to prevent the programs from providing harmful, biased or inappropriate responses to users’ questions.
The engines that power chatbots such as ChatGPT, Gemini and Claude – large language models (LLMs) – are fed vast amounts of material from the internet.
Despite efforts to strip harmful text from the training data, LLMs can still absorb information about illegal activities such as hacking, money laundering, insider trading and bomb-making. The security controls are designed to stop them using that information in their responses.
영어 뉴스 해석:
연구자들은 해킹된 AI 챗봇이 훈련 중에 흡수한 불법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위험한 지식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러한 경고는 내장된 안전 제어를 우회하도록 “탈옥(jailbroken)”된 챗봇의 우려스러운 추세 속에서 나왔습니다. 이러한 제한은 프로그램이 사용자 질문에 해롭거나 편향되거나 부적절한 응답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ChatGPT, Gemini 및 Claude와 같은 챗봇을 구동하는 엔진인 대형 언어 모델(LLMs)은 인터넷의 방대한 자료를 학습합니다. 훈련 데이터에서 유해한 텍스트를 제거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LLM은 여전히 해킹, 자금 세탁, 내부자 거래 및 폭탄 제조와 같은 불법 활동에 대한 정보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보안 제어는 이러한 정보를 응답에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요즘 AI 챗봇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부 사람들이 AI 챗봇을 속여서 원래는 알려주지 않아야 할 위험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고 해요. 예를 들어, 해킹 방법이나 불법적인 활동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AI가 이를 거부해야 하지만, 교묘한 방법으로 질문하면 AI가 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거죠.
이런 현상을 “탈옥(jailbreaking)”이라고 부르는데요, 이는 AI의 안전장치를 우회하는 방법이에요. 연구자들은 이러한 탈옥이 점점 더 쉬워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누구나 위험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황이 우려된다고 말합니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이나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이러한 정보를 접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하지만 AI가 우리 일상에 깊이 들어온 만큼, 그 안전성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AI를 사용할 때는 항상 주의하고, 아이들이 사용하는 AI 서비스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해요.
핵심 영어 표현 3가지:
- Jailbroken: (탈옥된) 원래의 제한이나 안전장치를 우회한 상태
- Large Language Models (LLMs): (대형 언어 모델)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AI 모델
- Safety controls: (안전 제어) AI가 해롭거나 부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제한 장치
AI 용어 정리
용어: Jailbreaking
정의: AI 챗봇의 내장된 안전장치나 제한을 우회하여 원래는 제공하지 않아야 할 정보를 얻는 행위
실생활 예시: 아이가 부모님의 스마트폰에 설정된 사용 제한을 우회하여 게임을 더 오래 하거나, 금지된 앱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해요.
영어로 작문해보기:
- Some users attempt to jailbreak AI chatbots to access restricted information.
- Jailbreaking can lead to the AI providing harmful or illegal content.
- Developers are working to prevent jailbreaking to ensure user safety.
생각해봅시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는 많은 편리함을 누리고 있어요.
하지만 그만큼 새로운 위험도 함께 따라오고 있습니다.
AI 챗봇이 잘못된 정보나 위험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 모두에게 경각심을 줍니다.
저는 이 기사를 접하면서 AI의 편리함 뒤에 숨겨진 위험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은 이 글을 통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AI 뉴스 구독해보세요!
AI 뉴스 다이제스트는 AI 뉴스 기사 큐레이팅을 통해 AI 뉴스 해석, AI 기술 동향, AI 용어 정리, AI 트렌드 등을 전해드립니다. 어렵게만 느껴지는 인공지능 용어와 트렌드를 쉽고 재미있게 접해보세요!
🌿 Cannylog
Cannylog는 AI를 배우는 육아맘의 시선으로 기술과 일상을 함께 나누는 공간입니다.
어렵게 느껴지는 인공지능도, 일상의 작은 순간들도 여기서 함께 이야기해요.
아래 카테고리에서 더 많은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카테고리 바로가기
- 🗞️ AI Daily
AI 뉴스 큐레이팅과 인사이트를 매일 한눈에! - 🌱 Growing Note
일상 속 깨달음, 독서, 배움의 기록을 담아요 - 📖 Study Note
AI 학사 과정을 따라가는 학습 여정
About Author
전업주부 아니고, 가정경영 CEO!
컴퓨터 전공은 아니지만 만학도의 힘으로 타전공 도전, 호기심과 끈기로 AI의 세계를 탐험 중.
“복잡한 걸 간단하게 설명하는 게 진짜 이해하는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음.
넷플릭스보다 AI뉴스 보는 게 더 재밌어진 엄마.